안드로이드 스튜디오 디버깅, 어렵지 않아요! 앱 문제 해결의 A to Z

안녕하세요! 안드로이드 앱 개발을 하다 보면 예상치 못한 버그나 오류를 마주하게 됩니다. 이때 개발자에게 가장 강력한 도구가 바로 '디버깅'입니다.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디버깅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자세히 알려드릴게요. 이 글을 통해 앱 문제 해결 능력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해보세요! 1. 디버깅의 시작, 브레이크포인트 설정! 디버깅은 특정 코드 라인에서 앱의 실행을 잠시 멈추게 하는 '브레이크포인트' 설정에서 시작됩니다. 설정 방법: 코드를 작성하는 에디터의 왼쪽 여백(줄 번호 옆)을 마우스로 클릭하면 빨간색 원이 생기는데, 이것이 바로 브레이크포인트입니다. 왜 필요할까요?: 특정 변수의 값이 제대로 들어오는지 확인하거나, 특정 함수가 의도대로 호출되는지 살펴보고 싶을 때 유용합니다. 앱의 현재 상태를 자세히 들여다볼 수 있게 해줍니다. 2. 디버깅 모드로 앱 실행하기 일반적으로 앱을 실행하는 'Run' 버튼 대신, 디버깅 모드로 앱을 실행해야 합니다. 메뉴 이용: 상단 메뉴에서 Run > Debug 'app' 을 선택합니다. 툴바 버튼 이용: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툴바에서 벌레 모양의 'Debug App' 아이콘을 클릭해도 됩니다. 이렇게 실행하면 앱이 선택한 에뮬레이터나 실제 기기에서 실행되다가, 설정한 브레이크포인트에 도달하는 순간 잠시 멈춥니다. 3. 디버그 툴 윈도우, 디버깅의 핵심! 앱이 브레이크포인트에서 멈추면,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하단에 "Debug" 툴 윈도우가 자동으로 나타납니다. 이곳은 디버깅에 필요한 모든 핵심 정보들을 제공하는 곳입니다. 주요 탭과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. Console: 앱의 로그캣 메시지나 디버거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 Log.d() , Log.e() 등으로 출력한 메시지를 여기서 볼 수 있어요. Debugger: 디버깅의 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 Frames (Call Stack): 현재 앱이 어떤...